반응형
20대 96%가 미혼? 인구 구조의 빨간불
1. 인구 증가의 진짜 이유
- 2024년 총인구: 5,181만 명 (작년 대비 3만 명 ↑)
- 그런데 내국인은 4,976만 명 → 이미 5천만 선 붕괴
- 인구가 늘어난 건 외국인 장기체류자(200만 명↑) 덕분
- 내국인은 2021년부터 계속 감소, 외국인 유입이 그 감소분을 메움
2. 초고령 사회 진입
- 65세 이상 비중 20% 돌파 → 2025년부턴 ‘초고령 사회’
- 생산연령인구(15~64세) 비중 첫 70% 아래 (69.9984%)
- 앞으로 매년 40만~60만 명씩 생산연령인구 감소 예상
3. 충격의 미혼율
- 20대 미혼율: 남자 97%, 여자 93% (합계 96%)
→ 결혼·출산 가능성이 극히 낮음 - 30대 미혼율: 남자 62%, 여자 44% (합계 53%)
- 40대 들어서야 미혼율이 21%로 떨어짐
4. 외국인 노동자 100만 시대
- 2024년 외국인 취업자 사상 첫 100만 명 돌파
- 90%가 생산연령층(20~40대), 대부분 300인 이하 사업장에서 근무
- 제조업(45.6%), 음식·숙박업, 건설업, 농업 등에 집중
- 인력 부족 탓에 임금도 꾸준히 상승 중
5. 한·일 경쟁 구도
- 일본은 이미 2008년부터 인구 감소 → 고령화율 세계 1위(65세 이상 30%)
- 외국인 근로자 200만 명 있으나, 임금이 한국보다 낮아 유출 심화
- 한국은 임금·제도 면에서 더 매력적이라 외국인 노동자 확보 경쟁에서 유리
6. 산업 현장의 현실
- 한국 조선업 종사자 중 15%가 외국인 (일본은 20%)
- 인력난 심화로 동남아 등에 현지 교육센터 세워 사전 채용 준비
- 앞으로 숙련 외국인 영입·정착 지원이 국가 경쟁력 좌우할 전망
💡 정리
겉으론 “인구 증가”처럼 보이지만, 실상은 외국인 유입이 메운 숫자.
내국인 감소·초고령화·결혼율 하락은 여전히 심각.
앞으로는 외국인 노동력 확보가 한국 경제와 산업 유지의 핵심 카드가 될 가능성이 큼.
반응형